중기 이유식은 아기가 초기 이유식에 적응한 후 질감과 재료를 다양화하는 단계입니다. 2025년 기준 생후 7~9개월 아기를 대상으로 하며, 부드러운 죽 형태(반고형식)로 제공하는 시기입니다. 이유식 전반에 대한 가이드와 초기 이유식 정보는 관련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에서는 중기 이유식의 조리법, 식재료 확장, 단백질 추가, 질감 변화부터 하루 제공량까지 모든 것을 상세히 안내합니다.
중기 이유식이란?
중기 이유식은 초기 이유식의 유동식에서 반고형식으로 전환하는 단계입니다. 7배죽(쌀:물 = 1:7) 형태로 제공하며, 아기가 혀로 으깰 수 있는 부드러운 농도를 유지합니다.
관련 자료에 따르면, 중기 이유식은 아기의 씹기 능력을 발달시키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채에 거르지 않고 으깬 상태로 제공하여 아기가 혀와 입천장으로 음식을 으깨는 연습을 시작합니다. 이 시기에는 모유나 분유가 여전히 주 영양원이지만, 이유식의 비중이 점차 늘어납니다.
중기 이유식 시기와 준비 상태
중기 이유식은 초기 이유식을 2주 이상 진행한 후, 아기가 유동식에 잘 적응했을 때 시작합니다.
중기 이유식 시작 조건:
생후 7~9개월 사이에 시작하며, 아기가 초기 이유식을 거부감 없이 먹고 알레르기 반응이 없어야 합니다. 혀로 음식을 밀어내는 반사가 거의 사라지고, 입을 다물고 음식을 삼킬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앉은 자세가 안정적이며, 손으로 물건을 잡을 수 있는 발달 단계에 도달해야 합니다.
중기 이유식을 너무 빨리 시작하면 아기가 소화하기 어려워할 수 있고, 너무 늦게 시작하면 씹기 능력 발달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시기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기 이유식 조리법 - 7배죽 만들기
중기 이유식의 기본은 7배죽입니다. 초기의 10배죽보다 농도가 진하며, 쌀과 물의 비율이 1:7입니다.
7배죽 조리법:
쌀가루 10g과 물 140ml를 준비합니다. 냄비에 물을 넣고 끓이다가 쌀가루를 조금씩 넣으면서 저어줍니다. 약불로 줄여 7~10분간 계속 저으며 끓인 후, 채에 거르지 않고 숟가락으로 으깨거나 핸드블렌더로 갈아줍니다. 처음에는 부드럽게 갈아서 제공하고, 점차 알갱이가 남도록 덜 갈아서 제공하세요.
채소나 고기를 추가할 때는 약 0.3cm 크기로 잘게 썰어 함께 끓입니다. 중기 후반으로 갈수록 재료를 덜 으깨고 알갱이가 남도록 하여 아기가 씹는 연습을 할 수 있게 합니다.
식재료 확장과 단백질 추가
중기 이유식에서는 식재료가 크게 다양해집니다. 초기에 사용하지 못했던 단백질 식품을 본격적으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중기 이유식 추천 식재료:
곡류는 쌀, 찹쌀, 귀리, 현미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채소는 애호박, 당근, 브로콜리, 시금치, 양배추, 감자, 고구마 등 거의 모든 채소가 가능하며, 과일은 바나나, 사과, 배, 딸기, 블루베리 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이 중기 이유식의 핵심입니다. 쇠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등 고기류와 흰살생선(대구, 가자미), 두부, 계란 노른자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계란은 노른자부터 시작하고, 흰자는 알레르기 위험이 있으므로 후기 이후에 시도하세요. 플레인 요구르트도 중기부터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루 제공량과 횟수
중기 이유식의 하루 제공량과 횟수는 초기보다 늘어납니다.
중기 이유식 제공 가이드:
하루 2회 제공하며, 오전 10~11시와 오후 2~3시 사이에 나누어 줍니다. 1회 제공량은 70~100g으로 늘어나며, 아기의 식욕에 따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70g으로 시작하여 점차 80g, 90g, 100g으로 늘려가세요.
간식은 하루 1회 제공하며, 과일이나 플레인 요구르트 등을 소량(30~50g) 제공합니다. 이유식을 먹인 후에는 모유나 분유를 계속 먹여야 하며, 하루 총 700~800g의 모유나 분유를 섭취해야 합니다. 수유 횟수는 3~5회 정도로 줄어듭니다.
중기 이유식 식단표 예시
중기 이유식 식단표는 다양한 식재료를 골고루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주차 식단표:
월요일 오전에는 쌀죽 + 애호박 + 쇠고기, 오후에는 쌀죽 + 단호박 + 닭고기를 제공합니다. 화요일 오전에는 쌀죽 + 브로콜리 + 두부, 오후에는 쌀죽 + 당근 + 쇠고기를 제공하세요. 수요일 오전에는 쌀죽 + 시금치 + 흰살생선, 오후에는 쌀죽 + 감자 + 닭고기를 제공합니다.
2주차 식단표:
목요일 오전에는 쌀죽 + 양배추 + 쇠고기, 오후에는 쌀죽 + 고구마 + 두부를 제공하세요. 금요일 오전에는 쌀죽 + 애호박 + 계란노른자, 오후에는 쌀죽 + 단호박 + 쇠고기를 제공합니다. 토요일과 일요일은 이전 식단을 반복하거나 새로운 조합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간식으로는 바나나 으깬 것, 사과 퓌레, 플레인 요구르트 등을 번갈아 제공하세요.
질감 변화와 씹기 연습
중기 이유식의 핵심은 질감을 점차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중기 초반에는 부드럽게 갈아서 제공하지만, 중기 중반부터는 알갱이가 조금 남도록 덜 갈아서 제공하세요. 중기 후반에는 재료를 으깨기만 하거나 잘게 썰어서 제공하여 아기가 혀와 입천장으로 으깨는 연습을 할 수 있게 합니다.
재료의 크기도 점차 키웁니다. 초반에는 0.2cm 크기로 시작하여 중반에는 0.3cm, 후반에는 0.5cm 크기로 점차 늘려갑니다. 아기가 씹는 동작을 하는지 관찰하며, 씹기를 어려워하면 다시 부드럽게 조리하고, 잘 씹으면 점차 질감을 거칠게 만들어갑니다.
중기 이유식 주의사항
중기 이유식을 진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여전히 간, 유지(기름), 당류(설탕), 양념 등은 제한해야 합니다. 아기의 신장과 미각 발달을 위해 생후 12개월까지는 자연 그대로의 맛을 경험하게 하세요. 꿀은 여전히 금지이며, 생우유도 생후 12개월 이전에는 먹이지 마세요.
새로운 식재료를 추가할 때는 여전히 3~4일 간격을 두고 알레르기 반응을 관찰하세요. 특히 계란, 생선, 견과류 등 알레르기 위험이 높은 식품은 소량부터 시작하여 천천히 늘려갑니다.
이유식을 너무 묽게 오래 유지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중기 후반으로 갈수록 점차 농도를 진하게 하고 질감을 거칠게 만들어 후기 이유식으로 자연스럽게 전환할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후기 이유식 진행 방법은 다음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중기 이유식은 언제부터 시작하나요?
생후 7~9개월 사이에 시작하며, 초기 이유식을 2주 이상 진행한 후 아기가 유동식에 잘 적응했을 때 시작합니다. 혀로 음식을 밀어내는 반사가 사라지고 입을 다물고 삼킬 수 있어야 합니다.
❓ 중기 이유식은 하루에 몇 번 먹이나요?
하루 2회 제공하며, 1회 제공량은 70~100g입니다. 간식은 1회 추가하며, 모유나 분유는 하루 700~800g 정도 섭취해야 합니다.
❓ 7배죽은 어떻게 만드나요?
쌀가루 10g과 물 140ml를 1:7 비율로 섞어 만듭니다. 물을 끓인 후 쌀가루를 조금씩 넣으며 저어주고, 약불로 7~10분간 끓인 후 채에 거르지 않고 으깨서 제공하세요.
❓ 중기 이유식에서 단백질은 언제 추가하나요?
중기 이유식부터 본격적으로 단백질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쇠고기, 닭고기, 흰살생선, 두부, 계란 노른자 등을 0.3cm 크기로 잘게 썰어 제공하세요. 계란 흰자는 후기 이후에 시도합니다.
❓ 중기 이유식에서 질감을 어떻게 변화시키나요?
중기 초반에는 부드럽게 갈아서 제공하고, 중반부터는 알갱이가 조금 남도록 덜 갈아서 제공합니다. 후반에는 재료를 으깨기만 하거나 잘게 썰어서 제공하여 씹는 연습을 시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