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령별 이유식 식단표 - 초기부터 완료기 4개월~18개월 실전 가이드

초기 4-6개월 죽 중심 하루 1-2회
중기 7-8개월 다진 고기·두부 추가
완료기 12개월 이후 유아식 전환

⚠️
※ 이 글은 자료 조사 및 검토를 통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전문가의 글이 아니며, 아이의 발달 상태에 따라 이유식 시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실제 시작 시에는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 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월령별 이유식 식단표의 중요성

이유식은 아기가 모유나 분유에서 일반 식사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월령에 맞는 식단표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사한 결과, 2025년 현재 보건복지부의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2020년)을 기준으로 전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월령별 이유식 식단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월령별로 적절한 영양소 섭취와 식품 알레르기 관리가 필요하며, 식단표에는 열량, 단백질,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반드시 표시됩니다.

이유식 단계별 구분과 시작 시기

이유식은 크게 4단계로 나뉘며, 각 단계마다 제공하는 식품의 형태와 영양소가 다릅니다. 초기(4-6개월)에는 죽 형태로 부드러운 식품을 제공하며, 중기(7-8개월)에는 다진 고기와 두부를 추가합니다. 후기(9-11개월)에는 무른밥과 다양한 야채를 제공하고, 완료기(12-18개월)에는 일반식으로 전환하는 시기입니다.

단계별 시작 시기:

  • 초기(4-6개월): 목 가누기가 안정되고 침을 많이 흘리며 음식에 관심을 보일 때 시작합니다. 하루 1-2회 죽 형태로 제공합니다.
  • 중기(7-8개월): 혀로 음식을 으깰 수 있고 앉기 시작할 때 진행합니다. 죽에서 다진 고기, 두부, 야채를 추가하며 하루 2-3회 제공합니다.
  • 후기(9-11개월): 잇몸으로 씹을 수 있고 손으로 음식을 잡으려 할 때 시작합니다. 무른밥과 손 음식(핑거푸드)을 추가하며 하루 3회 제공합니다.
  • 완료기(12-18개월): 어금니가 나기 시작하고 스스로 먹으려는 의지를 보일 때 유아식으로 전환합니다. 가족 식사와 유사한 형태로 제공합니다.

초기 이유식 식단표 (4-6개월)

초기 이유식은 쌀미음이나 쌀죽으로 시작하며, 한 번에 한 가지 재료만 추가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확인합니다.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초기 식단은 하루 1-2회 제공하며, 1회 제공량은 30-50g(약 2-3숟가락) 정도입니다. 쌀죽에 익숙해지면 야채(당근, 감자, 고구마, 단호박)를 하나씩 추가하고, 이후 쇠고기나 닭고기 등 단백질을 소량 추가합니다.

초기 식단 예시 (4-6개월):

시기 오전 점심 저녁 비고
1주차 쌀미음 - - 하루 1회, 30g
2주차 쌀죽 쌀죽 - 하루 2회, 40g
3주차 당근쌀죽 감자쌀죽 - 야채 추가, 50g
4주차 고구마쌀죽 단호박쌀죽 쇠고기쌀죽 단백질 추가, 50g

초기 이유식은 알레르기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새로운 재료는 3-5일 간격으로 추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쌀미음으로 시작하여 아기가 삼키는 것에 익숙해지면 쌀죽으로 진행하고, 이후 야채와 단백질을 천천히 추가합니다.

중기 이유식 식단표 (7-8개월)

중기 이유식은 죽에서 다진 고기, 두부, 야채를 추가하여 영양소를 다양화하는 시기입니다. 관련 자료를 참고하면, 중기 식단은 하루 2-3회 제공하며, 1회 제공량은 80-120g(약 1/2-2/3컵) 정도입니다. 쌀죽 외에도 단호박, 브로콜리, 시금치 등 다양한 야채와 쇠고기, 닭고기, 흰살생선, 두부 등 단백질 식품을 추가합니다.

중기 식단 예시 (7-8개월, 2025년 2월 기준):

날짜 오전간식 점심 오후간식 열량 단백질
1일(월) 단호박죽 쇠고기감자죽 과일(바나나) 150kcal 4.5g
2일(화) 브로콜리죽 닭고기야채죽 두부으깸 165kcal 5.2g
3일(수) 고구마죽 흰살생선야채죽 과일(사과) 155kcal 4.8g
4일(목) 시금치죽 쇠고기단호박죽 바나나으깸 170kcal 5.5g

중기 이유식은 식품의 종류를 늘리면서 아기의 입맛을 키우는 단계입니다. 죽의 농도를 점차 진하게 만들고, 야채와 고기는 잘게 다져서 제공합니다.

후기 이유식 식단표 (9-11개월)

후기 이유식은 무른밥으로 전환하고 손 음식(핑거푸드)을 추가하는 시기입니다. 조사한 결과, 후기 식단은 하루 3회 제공하며, 1회 제공량은 150-200g(약 2/3-1컵) 정도입니다. 무른밥에 다진 고기, 야채, 과일을 함께 제공하며, 아기가 스스로 먹을 수 있도록 작은 주먹밥이나 야채 스틱을 추가합니다.

후기 식단 예시 (9-11개월, 2025년 3월 기준):

날짜 오전간식 점심 오후간식 열량 단백질
3일(월) 모듬채소죽 닭고기배추무른밥 으깬단호박 168.4kcal 6.5g
4일(화) 쇠고기죽 감자양파무른밥 과일(사과) 195.7kcal 5.5g
5일(수) 양송이죽 치즈미역무른밥 빵(모닝빵) 208.2kcal 5.6g
6일(목) 두부우엉죽 흑미쇠고기무른밥 과일(배) 200.4kcal 7.4g

후기 이유식은 아기가 잇몸으로 씹는 연습을 하는 시기입니다. 무른밥의 농도를 점차 일반 밥 수준으로 높이고, 야채는 작은 조각으로 제공하여 씹는 능력을 기릅니다.

완료기 이유식 식단표 (12-18개월)

완료기는 유아식으로 전환하는 시기로, 가족 식사와 유사한 형태의 음식을 제공합니다. 관련 자료에 따르면, 완료기 식단은 하루 3회 주식과 2회 간식으로 구성되며, 1회 제공량은 200-250g(약 1-1.5컵) 정도입니다. 쌀밥, 국, 반찬 형태로 제공하며, 제철 식품을 활용하여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도록 합니다.

완료기 식단 예시 (12-18개월, 2025년 8월 기준):

완료기에는 쌀, 고구마, 옥수수, 복숭아, 수박, 전복 등 제철 식품을 활용한 식단을 제공합니다. 다만, 방울토마토, 포도, 메추리알은 세로 방향으로 잘라 제공해야 하며, 콩·땅콩(견과류), 떡(찰기 있는 음식)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식단표에는 식단 출처, 제공 연령, 열량, 단백질, 식품알레르기 유발물질을 반드시 표시합니다.

완료기는 아기가 어금니로 씹는 능력이 발달하는 시기입니다. 밥과 반찬을 분리하여 제공하고, 국물이 있는 음식과 마른 반찬을 함께 제공하여 식사의 다양성을 경험하게 합니다. 이 시기에는 가족 식사 시간에 함께 앉아 먹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양소 기준과 알레르기 관리

이유식 식단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보건복지부, 2020년)을 기준으로 작성되며, 연령별 하루 권장 영양소인 열량,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을 고려합니다. 식단표에는 식품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반드시 표시되어야 하며, 난류, 우유, 메밀, 땅콩, 대두, 밀, 고등어, 게, 새우, 돼지고기, 복숭아, 토마토, 아황산류, 호두, 닭고기, 쇠고기, 오징어, 조개류 등 18가지 품목이 포함됩니다.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해당 식품을 중단하고 대체 식품을 제공해야 합니다. 식품알레르기가 있는 아기의 경우, 의사소견서를 제출하면 동일식품군으로 대체 제공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우유 알레르기가 있으면 두유나 쌀음료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이유식 보관 및 조리 방법

이유식 재료와 조리된 이유식은 올바른 보관 방법을 따라야 신선함과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재료 및 이유식은 뚜껑을 덮어 냉장 보관 시 24시간 이내, 냉동 보관 시 1주일 이내에 섭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냉동 이유식은 소분하여 보관하고, 해동 시 전자레인지나 중탕으로 골고루 데워야 합니다.

조리 시에는 식품알레르기 유발물질을 반드시 확인하고, 아기가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식품은 제외해야 합니다. 이유식은 가급적 신선한 재료로 당일 조리하는 것이 좋으며, 남은 이유식은 바로 냉장고에 보관하고 재가열 시 한 번만 데워야 합니다.

이유식 보관 및 조리 주의사항:

  • 냉장 보관: 뚜껑 덮어 24시간 이내 섭취
  • 냉동 보관: 소분하여 1주일 이내 섭취
  • 재가열: 중탕 또는 전자레인지, 골고루 저어가며 데우기
  • 위생 관리: 조리 도구와 손 청결 유지, 남은 이유식 재사용 금지

자주 묻는 질문 (FAQ)

❓ 이유식 식단표는 꼭 지켜야 하나요?

식단표는 기본 가이드일 뿐이며, 아기의 발달 상태와 알레르기 여부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월령별 식품 형태와 영양소 비율은 참고하여 균형 잡힌 식단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 새로운 재료는 언제 추가해야 하나요?

새로운 재료는 3-5일 간격으로 하나씩 추가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확인합니다. 특히 초기 이유식에서는 한 번에 한 가지 재료만 추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이유식 식단표를 어디서 구할 수 있나요?

전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홈페이지나 보육통합정보시스템에서 월령별 이유식 식단표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각 센터별로 월별 식단표를 제공하고 있어 참고하면 됩니다.

❓ 알레르기가 있으면 식단을 어떻게 조정하나요?

알레르기 유발 식품은 제외하고 동일 식품군의 대체 식품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우유 알레르기가 있으면 두유나 쌀음료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의사소견서를 제출하면 어린이집에서도 대체 식단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이유식을 냉동 보관하면 얼마나 보관할 수 있나요?

냉동 이유식은 소분하여 보관하고 1주일 이내에 섭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해동 시 중탕이나 전자레인지로 골고루 데우고, 재가열은 한 번만 해야 합니다.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